직장 내 괴롭힘이란 무엇일까?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직장 내 괴롭힘의 심각성을 알아봅니다.
직장 내 괴롭힘이란? 개념부터 유형까지 한눈에 정리
"이 정도는 다들 참으면서 일하는 거 아냐?"
"그냥 직장 문화일 뿐이지, 왜 괴롭힘이라고 해?"
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한 스트레스나 업무 갈등과 다릅니다.
반복적이고 의도적인 괴롭힘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에도 큰 영향을 미치죠.
오늘은 직장 내 괴롭힘의 개념과 유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직장 내 괴롭힘이란? 개념 정리
1) 직장 내 괴롭힘의 정의 (근로기준법 기준)
2019년 개정된 근로기준법 제76조의 2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
즉, 단순한 업무 스트레스가 아니라 의도적이고 지속적인 괴롭힘이 문제라는 거죠.
2) 단순한 갈등과 직장 내 괴롭힘의 차이
직장에서는 갈등이 발생할 수 있지만, 모든 갈등이 괴롭힘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괴롭힘이 성립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① 관계의 우위
- 가해자가 상사, 동료, 후배, 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
- 업무상 불이익을 줄 수 있는 권한을 가졌거나, 집단의 힘을 이용하는 경우
② 업무상 적정 범위를 초과한 행동
- 단순한 업무 지시가 아니라 반복적인 모욕, 부당한 대우 포함
③ 신체적·정신적 고통 유발 또는 근무환경 악화
- 직장 내 괴롭힘이 지속될 경우 스트레스, 불안, 직무 수행 어려움 등이 발생
- 즉, 일반적인 업무 지시나 의견 충돌과는 구별되어야 합니다.
2. 직장 내 괴롭힘 유형 (5가지 사례 분석)
직장 내 괴롭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5가지 유형을 실제 사례와 함께 알아볼까요?
1) 언어적: 모욕, 비난, 공개적인 망신
"너 이 정도도 못 해? 진짜 답답하다!"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거나, 반복적으로 무시하는 말투 사용
- 모욕적 언행, 반복적인 비난
- 과도한 고함, 소문 퍼뜨리기
2) 업무적 괴롭힘: 과도한 업무 부여 또는 배제
"너는 실력이 부족하니까 이 프로젝트에서 빠져."
일을 너무 많이 주거나, 반대로 일부러 배제해 따돌림을 유도
- 고의적으로 업무를 과중하게 부여하거나 업무를 뺏음
- 부당한 업무 지시, 실적 평가 조작
3) 관계적 괴롭힘: 따돌림, 험담 퍼뜨리기
"회식 장소? 너한텐 말 안 했나?"
특정 직원을 의도적으로 소외시키고 배제하는 행위
- 사내 모임이나 회식에서 일부러 배제
- 집단 따돌림, 험담 및 고립 유도
4) 신체적 괴롭힘: 폭력적인 행동, 협박
"일 제대로 안 하면 두고 봐!"
신체적 위협을 가하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
- 밀치기, 물건 던지기 등 신체적 위협
- 감정적인 폭발 후 위협적인 행동
5) 온라인 괴롭힘: 단체 채팅방에서 왕따, 이메일 폭언
"단톡방에서 보냈는데 일부러 무시하네?"
단체 카톡방에서 특정인을 소외시키거나, 이메일로 모욕적 메시지를 보내는 행위
- 단체 메신저에서 의도적으로 배제
- 이메일을 이용한 지속적인 비난
3. 마무리하며: 직장 내 괴롭힘을 제대로 이해하자
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한 업무 갈등이 아닌, 반복적이고 의도적인 괴롭힘이다.
괴롭힘 유형은 언어적, 업무적, 관계적, 신체적, 온라인 괴롭힘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직장 내 괴롭힘을 제대로 인식하고, 건강한 직장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여러분의 직장에서는 이런 괴롭힘이 발생하고 있나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일과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과 성립 요건 [직장 내 괴롭힘4] (114) | 2025.02.10 |
---|---|
성과 중심 조직문화의 그늘: 직장 내 괴롭힘 증가?[직장 내 괴롭힘 3] (57) | 2025.02.09 |
직장 내 가해자는 어떤 사람들일까? 심리 분석[직장 내 괴롭힘 1] (64) | 2025.02.07 |
<직업 트라우마 5.3> 산업재해 후 우울증: 증상과 해결책 (63) | 2025.02.06 |
<직업트라우마 5.2> 산업재해 후 살아남은 이들의 죄책감, 어떻게 다룰까? (84)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