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중심 조직문화가 직장 내 괴롭힘을 어떻게 조장하는지 분석합니다.
기업이 경쟁을 유발, 촉진함으로 성과를 일시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나
과도한 경쟁과 평가 압박이 괴롭힘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합니다.
해결책을 알아보세요.
이전 글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가해자의 심리와 행동 패턴을 분석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성과 중심 조직문화가 어떻게 직장 내 괴롭힘을 조장하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성과 중심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성과 중심 조직문화는 개인의 성과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평가와 보상을 결정하는 문화를 의미합니다.
특징:
- 경쟁이 심화됨 → 동료 간 협력보다 개별 성과가 강조됨
- 성과 압박 증가 →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정당화됨
- 순위 매기기 문화 → ‘이겨야 한다’는 심리가 강화됨
하지만, 이런 문화가 지나치면 조직 내 괴롭힘을 조장하는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2. 성과주의가 직장 내 괴롭힘을 유발하는 이유
① 과도한 경쟁 구조
성과 중심 조직에서는 직원 간 경쟁이 필연적입니다. 동료가 아니라 ‘라이벌’이 되는 순간, 서로를 배척하거나 발목을 잡는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실제 사례
- 한 IT 기업에서는 매년 성과 하위 10% 직원을 해고하는 구조를 유지했어요. 직원들은 서로를 도와주기보다 정보를 공유하지 않거나, 동료의 실수를 부각하는 행동을 하면서 괴롭힘이 심해졌습니다.
② 승진과 평가 압박
성과가 낮으면 승진에서 배제되거나 심지어 해고될 수도 있는 환경에서는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부당한 압박을 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 사례
- 한 마케팅 부서에서는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너의 성과가 낮으면 팀 전체가 불이익을 받는다”며 과도한 야근을 강요했습니다. 이를 거부한 직원은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모욕을 당했습니다.
③ 조직 문화의 방관
성과 중심 기업에서는 실적이 좋은 직원의 행동이 용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성과만 좋으면 가해자의 괴롭힘이 묵인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연구 결과
- 경쟁적인 조직일수록 직장 내 괴롭힘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출처:직장 내 괴롭힘과 조직문화 연구
3. 성과 중심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방법
① 협력 중심의 성과 평가 도입
- 개별 성과뿐만 아니라 팀워크, 협력 지수도 평가 요소에 포함해야 합니다.
- 경쟁보다는 집단 지향적 목표 설정을 통해 서로 돕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② 직장 내 괴롭힘 방지 시스템 마련
- 내부적으로 괴롭힘 신고 시스템을 강화하고 철저한 조사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괴롭힘을 예방하는 리더십 교육을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③ 정신 건강 및 심리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직원들의 정신 건강을 보호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합니다.
- 조직 내에서 정기적인 피드백 세션을 통해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해야 합니다.
결론: 건강한 조직문화가 곧 기업 경쟁력이다
성과 중심 조직문화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성과만 강조되는 조직에서는 경쟁이 과열되면서 직장 내 괴롭힘이 증가할 위험이 큽니다.
성과와 협력이 균형을 이루는 문화를 만들어야만, 조직도 성장하고 직원들의 정신 건강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직장은 어떠신가요?
직장 내 괴롭힘과 성과주의 문화에 대한 경험이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일과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절차 및 대응 방법 [직장 내 괴롭힘 5] (91) | 2025.02.11 |
---|---|
직장 내 괴롭힘 판단 기준과 성립 요건 [직장 내 괴롭힘4] (114) | 2025.02.10 |
직장 내 괴롭힘이란? 개념부터 유형까지 한눈에 정리[직장 내 괴롭힘 2] (47) | 2025.02.08 |
직장 내 가해자는 어떤 사람들일까? 심리 분석[직장 내 괴롭힘 1] (64) | 2025.02.07 |
<직업 트라우마 5.3> 산업재해 후 우울증: 증상과 해결책 (63) | 2025.02.06 |